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CRCS-K


연구 보고서

현재 페이지 경로
  • Home
  • 연구 보고서
  • 진행연구

진행연구

게시판 검색

검색 :

2021년

과제명 연구 제목 연구자
LOOKFOR 급성 열공성 뇌경색 환자에서 최적화 혈압의 시간 변동성에 대한 연구 신동우
DURATION 동맥경화성 뇌경색환자의 장기간 복합항혈소판사용의 효과 연구 강지훈
RECEPTION 2 급성뇌경색환자에서의 심장박동수와 심장박동수 변이에 따른 장기 예후에 대한 연구 이건주
FABRY 청장년기 뇌졸중 환자에서 파브리병의 유병률 연구: 다기관 전향적 레지스트리 기반 연구 박홍균
MOSIAC 3 뇌졸중 환자 특성 분석을 통한 질환 관리 기술 기반 연구: MOSAIC III
파트 1. 급성 뇌졸중 이후 조기신경악화 발생 및 발생후 3개월, 1년 시점의 기능적 예후에 대한 센터 영향 연구
파트 2. 장기심뇌혈관사건에 대한 위험인자 조절 영향 연구
이건주
EAST-AF 극동아시아 지역의 심방세동을 동반한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전향적 레지스트리 연구 이건주
MOVE 심방세동을 동반한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의 치료 형태와 예후에 대한 연구 이건주
Circadian 뇌경색 증상 발생 일주기성 (Circadian)과 뇌졸중 예후 연관성에 대한 연구 류위선
Hospital Ranking 사망률과 신경학적 장애 척도를 기반으로 한 병원 별 급성 뇌경색 치료 성과 순위의 비교 양성규
CADASIL CADASIL환자에서 혈액바이오마커 연구 최재철
combi vs AC or AM 급성경한뇌경색에서 복합항혈소판제 효과의 비교 연구 김준태
HbA1c and composite vascular events_2. 당뇨가 동반된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뇌경색 이전 혈당 조절이 주요심혈관사건 발생에 미치는 영향 장준영
CMB_network 3 허혈성 뇌경색 및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에서의 대뇌 미세출혈과 이후 뇌졸중 발병위험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심방세동 환자 개별 메타분석 데이터의 후향적 분석 연구 이건주 / 임재성
CMB_network 2 허혈성 뇌경색 및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에서의 대뇌 미세출혈과 이후 뇌졸중 발병위험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개별환자 메타분석 데이터의 후향적 분석 연구 이건주 / 임재성
LDL-tPA 혈전용해치료를 시행한 급성뇌경색 환자에서 LDL-cholesterol 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김준태
META VCI Network 뇌졸중 이후 인지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병변-네트워크 매핑 연구 임재성 / 신동우
Golden hour thrombolysis 한국의 초급성기 혈전용해치료의 현황 및 예후 김준태
GOAL 청장년기 뇌졸중 환자에서의 역학 연구; 다기관 GOAL initiative 컨소시엄 데이터를 이용한 후향적 메타분석 이건주 / 신동우
KDCA1 권역심뇌혈관센터로 입원한 환자에서 급성 심근경색과 뇌경색이 입원 경로와 병원전단계 지연에 미치는 영향차이 반별님
STACE2 급성 심장탓 뇌경색 환자 중 스타틴 처방에 대한 명확한 적응증이 없는 경우 심뇌혈관계질환 관련 복합 사건 발생 예방에 대한 스타틴 치료의 효과 비교 연구 박홍균
CMB_network 허혈성 뇌경색 및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에서의 대뇌 미세출혈과 이후 뇌졸중 발병위험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이건주 / 임재성
META VCI MAP 뇌졸중후 인지장애의 발병 예측을 위한 인지 취약성 뇌지도 작성: 급성기 뇌경색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대단위 병변-증상 매핑 연구 임재성 / 이건주
RSC Statistics 급성 뇌졸중 치료의 질 관리 및 국가통계 생산에 필요한 뇌졸중 등록체계의 개발 장민욱 / 반별님
BPV and perfusion 허혈성 뇌졸중 아급성기 혈압변동성과 관류부전이 뇌졸중 재발 및 혈관 사건에 미치는 영향 강지훈
NHIS-CRCS 급성 뇌경색 환자의 의료 이용, 뇌졸중 이후 건강 사건 발생, 전산 분석을 통한 뇌졸중 환자 식별에 관한 연구 김준엽 / 김범준
CIDNEY 한국인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정맥내 혈전용해술을 시행했을 때 신기능 손상 정도가 미치는 영향 이상화
KDCA 급성 뇌졸중 치료의 질 관리 및 국가통계 생산에 필요한 뇌졸중 등록체계의 개발 장민욱 / 반별님
image DB 뇌졸중 뇌 MR영상 정량구축을 통한 국가 참조표준 데이터 생산 김동억
QI 급성 뇌졸중 치료의 질관리시스템 개발 및 정착을 위한 다기관공동연구 이상화
RECEPTION 3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의 베타차단제 효능에 대한 비교효과연구 이건주
MetaVCIMap McGill 뇌졸중 후 언어 및 인지 조절 기능장애의 상호 중첩 및 해리에 관한 연구 임재성
Underweight 저체중과 뇌졸중 이후 심혈관사건 발생의 연관성 및 심방세동 유무에 따른 비교 이경복
AF TREND 심방 세동과 관련된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임상적 예후의 추세변동: 매개분석을 통한 새로운 경구 항응고제 복용의 포괄적 영향 평가 이민우
HEG TOAST 급성뇌경색에서 고혈당과 뇌경색 아형, 예후의 관련성 김준태
END management 급성기 뇌경색에서 초기신경학적악화에 대한 치료 현황 김준태
SST 급성 허혈성뇌졸중 환자의 임상적 예후에 대한 조기 스타틴 투여의 효과 박태환
STACE RRCT 스타틴 치료의 효과가 분명하지 않은 급성 심장탓 뇌경색 환자에서 스타틴의 유효성 탐색을 위한 다기관 레지스트리 기반, 무작위-대조군 연구 장명숙 / 박홍균
MIDAS 기계학습 기반 급성 단일 피질하 뇌경색 환자 조기증상악화 예측 연구 류위선
Young Adult Stroke 젊은 성인 뇌경색 환자의 비율, 환자 특성, 치료 양상과 임상적 예후의 시계열 변화 관찰 연구 김종욱
Study of Obesity 복부비만과 허혈뇌졸중 이후의 혈관질환 재발 위험 강규식

2022년

과제명 연구 제목 연구자
뇌질환 이행연구(후향) 뇌졸중 코호트 ㆍ 레지스트리 기반 질환관리기술 및 임상중재 이행전략 개발 연구 김도연
PITREND 급성뇌경색에서 뇌관류영상의 시행실태 및 급성기치료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레지스트리 기반 다기관 관찰연구 이정윤
LDL-C and statin LDL-C <70mg/dl 인 급성 뇌경색 환자의 statin treatment 의 초기 예후 김준태
LDL-C_prestatin 급성뇌경색에서 병전 스타틴 치료와 입원시 LDL-cholesterol 의 초기 예후의 관련성 김준태
Dissection 혈관박리로 인한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임상적 예후에 대한 연구 홍정호
CHOICE RRCT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 고위험군에서의 실로스타졸의 인지기능저하 예방효과 연구 임재성

2023년

과제명 연구 제목 연구자
ERICH GENE 뇌내출혈의 유전적 요인에 대한 다인종 연구 이건주
후향 CADASIL 한국인 CADASIL환자의 임상적, 유전학적, 영상학적 특징: 다기관 후향적 코호트 연구 최재철
Statistical Report 2022년도 뇌졸중 환자의 진료지침과 보건정책 개발을 위한 뇌졸중 환자 특성, 치료 및 예후에 대한 최신 현황 조사 연구 김도연
Air pollution 급성 뇌경색환자에서의 예후에 대한 대기오염물질의 영향 연구 이건주
Secular Trends 허혈뇌졸중 또는 일과성허혈발작의 치료 및 질병 결과의 시계열 변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박태환
BAO with low PC-ASPECTS 뇌허혈 손상 범위가 큰 기저동맥 폐색 뇌경색 환자에서 동맥내 혈전 제거술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장준영 / 한문구
NI-BAO ATTENTION 및 BAOCHE 연구의 실제 적용을 기반으로 한 기저동맥폐색 환자에서의 혈관내재개통치료 대상군 선정 및 효용성에 관한 연구 이정윤
DURATION 영상 DURATION 임상연구 환자에서 후향적 뇌영상 분석 하위 연구 김준태
MOSAIC 4 뇌졸중 환자의 다면적 자료 수집 및 추적을 통한 예후 예측과 진료 질 지표 개선 연구
파트 1. 다면화 자료를 이용한 뇌졸중 환자 예후 예측 연구
파트 2. 뇌졸중 환자의 장기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파트 3. 급성 뇌졸중 진료 질 향상 연구
김도연

Copyright (c) 2021 by Korean Stoke Society. All rights reserve